맨위로가기

플래시 (사진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플래시는 사진술에서 사용되는 조명 장치로, 순간적인 강한 빛을 발산하여 어두운 환경에서 사진을 촬영하거나, 피사체에 추가적인 조명을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플래시는 작동 원리에 따라 섬광등, 섬광전구, 전자 플래시 등으로 구분되며, 현재는 제논 가스를 이용한 전자 플래시가 주로 사용된다. 플래시는 카메라 내장형, 외장형, 스튜디오용 등으로 크기와 장착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며, 링 플래시, 매크로 플래시 등 특수한 용도로 사용되는 형태도 있다. 플래시의 세기는 가이드 넘버로 표시되며, 플래시 지속 시간은 피사체의 움직임을 정지시키는 데 영향을 미친다. 플래시는 자동 조광, 고속 싱크로 촬영, 후막 싱크로 등의 고급 기능을 제공하며, 소프트 박스, 바운스 플래시 등 다양한 기법을 통해 빛의 효과를 조절할 수 있다. 플래시 사용 시에는 적목 현상, 그림자, 주변광과의 균형, 사용 제한 장소 등을 고려해야 하며, 과도한 플래시 사용은 피사체나 주변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플래시 사진술 - 가이드 넘버
    가이드 넘버는 플래시의 광량을 나타내는 수치로, 촬영 시 적정 조리개 값을 계산하는 데 사용되며, 플래시 헤드에서 방출되는 광 에너지, 빔의 입체각, ISO 감도, 필터 등의 영향을 받고, 1939년 제너럴 일렉트릭에 의해 처음 도입되었다.
  • 플래시 사진술 - 섬광등
    섬광등은 1899년 조슈아 라이오넬 코헨과 폴 보이어가 발명한 전기 조명 장치로, 초기에는 사진 촬영 시 플래시 역할을 했고, 미국 해군에서 기뢰 뇌관으로도 사용되었으며, 이후 사진 촬영용 섬광을 생성하는 전기 장치로도 응용되었다.
  • 사진 장비 - 스테디캠
    스테디캠은 카메라를 안정화시켜 부드러운 영상을 촬영하는 장비로, 개럿 브라운이 개발한 '브라운 스태빌라이저'에서 시작되었으며 영화, 드라마 등 다양한 영상 제작에 활용되어 영화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사진 장비 - 사진 필름
    사진 필름은 빛에 반응하는 할로겐화은 입자를 사용하여 이미지를 기록하는 얇은 매체로, 흑백, 컬러 등 다양한 종류와 감광도, 형태, 규격 등으로 분류되며, 디지털 카메라의 등장으로 사용량이 감소했으나 독특한 표현 방식으로 활용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플래시 (사진술)
개요
핫슈에 장착된 외장 플래시
핫슈에 장착된 외장 플래시
종류인공 광원
용도사진술에서 짧은 시간 동안 빛을 내는 장치
지속 시간일반적으로 에서 초
상세 정보
특징휴대 가능
고출력
순간적인 강한 빛
역사초기에는 마그네슘 플래시 파우더 사용
기술 발전전자 플래시 (제논 플래시 튜브) 개발
제어카메라와 동기화되어 작동
기술
광량 조절수동 조절
자동 조절 (TTL)
동조 속도카메라 셔터 속도와 플래시 발광 시점 동기화
발광 모드선막 동조
후막 동조
고속 동조
전원배터리 또는 외부 전원
색 온도약 5500K (태양광과 유사)
활용
인물 사진그림자 완화, 눈동자 강조
실내 사진광량 부족 보충, 색감 개선
야외 사진역광 보정, 순간 포착
특수 촬영고속 촬영
수중 촬영
주의사항
적목 현상플래시 위치와 렌즈 축의 근접으로 인해 발생
과다 노출플래시 광량 과다로 인해 발생
그림자플래시 위치에 따라 그림자 발생
기타
관련 용어핫슈
동조 케이블
소프트박스
반사판

2. 플래시의 종류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에는 렌즈 위에 내장 플래시가 있다. 다수의 필름 카메라나 일안반사식 카메라에는 내장 플래시 외에도 외장 플래시를 달 수 있는 어댑터가 있어 확장이 가능하다. 소프트 박스 등의 소품을 이용하여 여러 플래시를 동조 장치를 갖추고 촬영하거나, 링 플래시나 그립 스트로보와 같이 별도 어댑터를 쓰지 않는 플래시도 있다.

2. 1. 작동 원리에 따른 분류

플래시는 플래시에 사용된 조명기구의 작동 원리에 따라서도 구분할 수 있다. 20세기 초에는 마그네슘과 염화 포타슘을 연료로 사용한 섬광등(flash lamp)을 점화하여 필요한 조명 효과를 얻었고, 1920년대에는 산소가 충전된 섬광전구(flashlight)를 사용하여 일시적인 폭발을 통해 조명 효과를 얻었다.[39] 1960년대에는 코닥사에서 플래시큐브(flashcube)를 개발하여 섬광전구 4개를 순차적으로 소모할 수 있게 하였다. 현재는 고용량의 캐피시터와 전기 방전 램프(아크 램프)를 사용한 플래시튜브(flashtube)로 구성된 전자 플래시를 일반적으로 사용하며, 이 플래시는 튜브 내부의 제논 기체가 방전되면서 나오는 빛을 사용한다.

대형 플래시 (elinchrom BXRi500)


소형 플래시 (Nikon SB600)

2. 2. 크기 및 장착 방식에 따른 분류



플래시는 크기 및 장착 방식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대형 플래시'''

: 주로 사진 스튜디오에서 사용되며, 소형 플래시보다 훨씬 큰 광량을 가진다. 상용 전원을 사용하며, 휴대형과 고정형이 있다. 전원부와 발광부가 일체형인 것은 모노블록(MONOBLOC)이라고 불린다. 발광량을 변경하는 방식으로는 전압 가변 방식과 용량 전환 방식이 있다.

  • '''소형 플래시'''

: 휴대성이 뛰어나며, 카메라에 장착하여 사용한다. "그립 스트로보", "클립온 플래시", "매크로용 플래시" 등으로 나뉜다. 최근에는 카메라와의 통신 기능, 카메라 자체의 성능 향상 등으로 클립온 타입이 주류를 이룬다. 사용 전원은 주로 건전지(니켈 카드뮴 축전지나 니켈 수소 충전지도 사용 가능)이다.

  • '''내장 플래시'''

: 카메라 자체에 내장된 플래시를 말한다. 소형이므로 큰 광량을 얻기 어렵지만, 카메라 자체의 취급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플래시 종류 및 특징
종류설명장점단점세부 종류
대형 플래시주로 사진 스튜디오에서 사용, 소형 플래시의 수 배에서 100배 정도의 발광량, 전원은 상용 전원 사용큰 광량휴대성 떨어짐, 가격이 비쌈휴대형, 고정형, 모노블록(전원부와 발광부 일체형)
소형 플래시휴대성이 뛰어나며, 카메라 바디의 삼각대용 나사 구멍이나 핫슈에 장착휴대성, 다양한 기능(카메라와의 통신 등)(대형 플래시에 비해) 광량이 적음그립 스트로보, 클립온 스트로보, 매크로용 플래시
내장 플래시카메라 자체에 내장카메라 자체의 취급 용이광량이 적음, 야경 촬영에 부적합, 전원 소모 큼-



; 세부 종류별 설명


  • '''모노블록''' : 전원부와 발광부가 일체형인 대형 플래시.
  • '''그립 스트로보''' : 카메라 바디의 삼각대용 나사 구멍 등을 사용하여 전용 앵글로 고정하는 소형 플래시.
  • '''클립온 플래시''' : 카메라 바디의 핫슈에 직접 장착하는 소형 플래시.
  • '''매크로용 플래시''' : 렌즈 앞에 장착하는 소형 플래시. 접사 촬영에 특화되어 있으며, 그림자 비침이나 비네팅을 줄일 수 있다.

2. 3. 과거에 사용된 플래시 형태

20세기 초에는 마그네슘과 염화 포타슘을 연료로 사용한 섬광등(flash lamp)을 점화하여 조명 효과를 얻었고, 1920년대에는 산소가 충전된 섬광전구(flashlight)를 사용하여 일시적인 폭발을 통해 조명 효과를 얻었다.[39] 1960년대에는 코닥사에서 플래시큐브(flashcube)를 개발하여 섬광전구 4개를 순차적으로 소모할 수 있게 하였다.

1909년 마그네슘 섬광 분말 램프 시연


1859년 분젠과 로스코의 마그네슘 연구에 따르면 이 금속을 태우면 주광과 유사한 품질의 빛이 생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에 대한 잠재적인 적용은 에드워드 손스타트가 이러한 용도로 안정적으로 연소될 수 있도록 마그네슘 제조 방법을 연구하도록 영감을 주었다. 그는 1862년에 특허를 신청했고, 1864년까지 에드워드 멜러와 함께 맨체스터 마그네슘 회사를 설립했다. 또한 회사의 이사이기도 했던 엔지니어 윌리엄 매더의 도움으로 그들은 납작한 마그네슘 리본을 생산했는데, 둥근 와이어보다 더 일관되고 완벽하게 연소되어 더 나은 조명을 제공한다고 한다. 또한 둥근 와이어를 만드는 것보다 더 간단하고 저렴한 공정이라는 이점이 있었다.[2] 매더는 또한 리본을 잡는 홀더를 발명한 것으로 인정받았으며, 이는 리본을 태우는 램프를 형성했다.[3] 사진사가 필요한 노출에 적합한 리본 길이를 사용할 수 있도록 눈금이 새겨진 자를 통합한 피스톨 플래시미터[4]와 같은 다양한 마그네슘 리본 홀더가 다른 제조업체에서 생산되었다.

빈티지 AHA 무연 섬광 분말 램프 키트, 독일


마그네슘 리본의 대안은 섬광 분말이었다. 이는 마그네슘 가루와 염소산 칼륨의 혼합물로, 독일 발명가인 아돌프 미테와 요하네스 게디케가 1887년에 도입했다. 측정된 양을 팬이나 홈에 넣고 손으로 점화하여 폭발과 같은 사건에서 예상할 수 있는 연기와 소음과 함께 짧고 밝은 섬광을 생성했다. 이는 특히 섬광 분말이 젖어 있을 경우 생명을 위협하는 활동일 수 있었다.[5] 전기적으로 트리거되는 플래시 램프는 1899년 조슈아 라이오넬 코웬이 발명했다. 그의 특허는 건전지를 사용하여 와이어 퓨즈를 가열하여 사진작가의 섬광 분말을 점화하는 장치를 설명한다. 1920년대까지 플래시 사진은 일반적으로 전문 사진작가가 T자형 플래시 램프의 홈에 가루를 뿌리고, 그것을 높이 들고, 짧고 (일반적으로) 무해한 불꽃놀이를 터뜨리는 것을 의미했다.

1950년대 에른스트 라이츠 베츨라 플래시


개방형 램프에서 플래시 파우더를 사용하는 방식은 ''플래시벌브''로 대체되었는데, 마그네슘 필라멘트가 산소 가스로 채워진 전구에 들어 있었고, 카메라 셔터의 접점을 통해 전기적으로 점화되었다.[7] 제조된 플래시벌브는 1929년 독일에서 처음 상업적으로 생산되었다.[8] 이러한 전구는 한 번만 사용할 수 있었고 사용 직후에는 너무 뜨거워서 만질 수 없었지만, 그렇지 않으면 작은 폭발로 이어질 수 있는 상황을 억제한 것은 중요한 진보였다. 이후 혁신은 플래시 중 유리가 깨지는 경우 전구의 완전성을 유지하기 위해 플래시벌브에 플라스틱 필름을 코팅하는 것이었다. 플래시의 스펙트럼 품질을 주광 밸런스 컬러 필름과 일치시키기 위해 파란색 플라스틱 필름이 옵션으로 도입되었다. 그 후, 마그네슘은 더 밝은 플래시를 생성하는 지르코늄으로 대체되었다.

1960년대에 널리 사용된 플래시벌브는 프레스 25(Press 25)였으며, 시대극 영화에서 신문 기자들이 자주 사용했던 크기의 플래시벌브는 보통 프레스 카메라나 이안 반사식 카메라에 부착되었다. 최대 광 출력은 약 백만 루멘이었다. 일반적으로 사용된 다른 플래시벌브는 M-시리즈, M-2, M-3 등이었으며, 작은 ("미니어처") 금속 베이요넷 베이스가 유리 전구에 융합되었다. 지금까지 생산된 가장 큰 플래시벌브는 GE 마즈다 No. 75로, 길이가 8인치 이상이고 둘레가 4인치였으며, 처음에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야간 항공 사진 촬영을 위해 개발되었다.[9][10]

전체 유리 PF1 전구는 1954년에 도입되었다.[11] 금속 베이스와 이를 유리 전구에 부착하는 데 필요한 여러 제조 단계를 제거함으로써 더 큰 M 시리즈 전구에 비해 비용을 크게 절감했다. 1958년에는 더 작고 밝기는 덜하지만 섬유질 링이 필요하지 않은 AG-1이 도입되었다. 이는 더 저렴했고 빠르게 PF1을 대체했다.

코닥 인스타매틱 카메라에 장착된 플래시큐브


1965년 이스만 코닥은 초기 인스타매틱 카메라에 사용되던 개별 플래시 전구 기술을 실바니아 일렉트릭 프로덕츠(Sylvania Electric Products)가 개발한 ''플래시큐브''로 대체했다.[12][13] 플래시큐브는 각각 자체 반사판에 90° 간격으로 장착된 4개의 소모성 플래시 전구로 구성된 모듈이었다.

나중에 제너럴 일렉트릭(General Electric)에서 제작한 매직큐브(또는 X-큐브)는 4개의 전구 형식을 유지했지만 전력이 필요하지 않았다. 매직큐브의 각 전구는 큐브 내부에 있는 4개의 코킹된 와이어 스프링 중 하나를 해제하여 점등되었다.

다른 일반적인 플래시 전구 기반 장치로는 플래시바와 플립플래시가 있었으며, 이들은 단일 장치로 10번의 플래시를 제공했다. 플립플래시의 전구는 수직 배열로 설정되어 전구와 렌즈 사이에 거리를 두어 적목 현상을 제거했다.

플래시큐브(왼쪽) 및 매직큐브(오른쪽)

3. 플래시의 세기

플래시의 세기는 가이드 넘버로 나타낸다. GN은 가이드 넘버(Guide Number)의 약자로 거리와 F 값의 곱을 나타낸다. 일반적인 DSLR카메라의 플래시는 GN 10~13 정도의 세기를 갖고, 외장 플래시는 그 크기와 종류에 따라 다양한 값을 갖으나 일반적으로 내장 플래시에 비하면 강력하다. 앞선 스피드라이트 430EX는 GN 43을 갖는 플래시이다.

전구 플래시와 달리, 일부 전자 플래시는 발광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작은 플래시 장치는 콘덴서 방전 시간을 변화시키고, 더 큰 (예: 고출력, 스튜디오) 장치는 콘덴서 충전량을 변화시켜 조절한다. 콘덴서 충전량 변화에 따라 색온도가 변할 수 있으므로 색상 보정이 필요하다. 적절한 회로를 사용하면 일정한 색온도를 유지하는 플래시를 구현할 수 있다.[18]

플래시 강도는 일반적으로 스톱 단위 또는 분수(1, 1/2, 1/4, 1/8 등)로 측정된다. 일부 모노라이트(monolight)는 "EV 숫자"를 표시하여, 사진작가가 와트-초(watt-second) 정격이 다른 여러 플래시 장치 간의 밝기 차이를 알 수 있도록 한다. EV10.0은 6400 와트-초(watt-second)로 정의되며, EV9.0은 한 스톱 낮으므로 3200 와트-초(watt-second)이다.[19]

4. 플래시의 작동 원리 (전자 플래시)

해럴드 유진 에저턴이 1931년에 전자 플래시 튜브를 처음 소개했다.[14] 전자 플래시는 거의 즉시 최대 밝기에 도달하고 지속 시간이 매우 짧다. 에저턴은 이를 활용해 사과를 관통하는 총알 등 상징적인 사진을 찍었다. 코닥은 처음에는 이 아이디어를 받아들이는 데 망설였다.[15] 스트로보스코피에 이 기술이 사용된 후, 미국에서 "스트로브"라고 불리는 전자 플래시는 1950년대 후반부터 사용되기 시작했지만, 1970년대 중반까지 아마추어 사진에서는 플래시 전구가 지배적이었다. 초기 장치는 비싸고 크고 무거웠으며, 전원 장치는 플래시 헤드와 분리되어 어깨 끈으로 휴대하는 대형 납축전지로 전원을 공급받았다. 1960년대 말에는 기존 전구 플래시와 비슷한 크기의 전자 플래시건이 출시되었지만, 여전히 가격이 높았다. 전자 플래시 시스템은 가격이 내려가면서 전구 플래시를 대체했고, 1970년대 초에는 아마추어용 전자 플래시가 100USD 미만으로 판매되었다.

두 개의 전문가용 제논 튜브 플래시


일반적인 전자 플래시 장치는 고용량 콘덴서를 수백 볼트까지 충전하는 전자 회로를 포함한다. 셔터의 플래시 동기화 접점에 의해 플래시가 트리거되면, 콘덴서는 플래시 튜브를 통해 빠르게 방전되어 1/1000초 미만의 즉각적인 플래시를 생성한다. 이는 셔터가 닫히기 전에 최대 밝기에 도달하므로, 최대 셔터 개방 시점과 플래시의 최대 밝기를 쉽게 플래시 동기화할 수 있게 한다. 플래시 전구는 최대 밝기에 도달하는 데 시간이 더 오래 걸리고 일반적으로 1/30초 동안 타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전자 플래시 장치는 카메라의 액세서리 슈나 브래킷에 장착되거나, 저렴한 카메라에는 내장되어 있기도 하다. 더 정교하고 장거리 조명을 위해 여러 개의 동기화된 플래시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링 플래시는 카메라 렌즈에 부착되어 그림자 없는 인물 사진 및 접사 사진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일부 렌즈에는 링 플래시가 내장되어 있다.[16]

사진 스튜디오에서는 더 강력하고 유연한 스튜디오 플래시 시스템을 사용한다. 모델링 램프는 플래시 튜브 근처의 램프로, 지속적인 조명을 제공하여 사진가가 플래시 효과를 시각화할 수 있게 한다. LED 램프는 새로운 디자인에서 이전의 백열 전구를 대체하고 있으며, 모델링 램프는 일반적으로 플래시 전력에 비례하여 가변적이므로 조광 가능한 LED와 헤드에 적합한 회로가 필요하다. 여러 개의 플래시를 동기화하여 다중 소스 조명을 사용할 수 있다.

플래시 장치의 강도는 가이드 넘버로 표시되며, 대형 스튜디오 플래시 장치(모노라이트)에서 방출되는 에너지는 와트-초로 표시된다.

캐논과 니콘은 전자 플래시 장치를 스피드라이트(Speedlite)라고 부른다. 이 용어는 카메라 핫 슈에 장착되어 트리거되도록 설계된 전자 플래시 장치를 지칭하는 일반적인 용어로 자주 사용된다.

고속 에어갭 플래시로 촬영한 Smith & Wesson Model 686의 발사 사진. 사진은 어두운 방에서 촬영되었으며, 카메라 셔터는 열린 상태였고, 플래시는 마이크를 사용하여 총소리에 의해 작동되었다.


에어갭 플래시는 1 마이크로초 미만의 매우 짧은 시간 동안 빛을 방출하는 고전압 장치이다. 과학자나 엔지니어가 매우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나 반응을 검사하는 데 사용되며, 총알이 전구와 풍선을 뚫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으로 유명하다(해럴드 유진 에저턴 참조). 폭발 와이어 방법은 고속 플래시를 생성하는 방법의 예시이다.

제논 플래시 튜브 구조


1939년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교수였던 해럴드 유진 에저턴 (Harold Eugene Edgerton) 박사에 의해 실용화되었다.

일반적인 사진 촬영용 플래시는 제논(Xe) 가스를 봉입한 유리관 내부 전극에 콘덴서에 충전된, 아크 방전하지 않는 정도의 고전압을 인가하고, 셔터와 연동시켜 외부 트리거 전극에 수천 V의 트리거 전압을 가해 관내 가스를 이온화시켜 임피던스를 급격히 저하시켜 방전시킴으로써 순간적으로 제논 가스를 발광시키는 구조이다. 전기적 특성은 반도체 소자인 사이리스터와 유사하다. 특수 용도로 관내 가스 종류가 다르거나 트리거 전압 인가 방식이 다른 종류가 존재한다.

제논 가스 내 방전 시 발광하는 빛의 스펙트럼 (파장 분포)은 다른 가스 등에 비해 태양광에 가깝지만, 엄밀한 촬영에서는 색 (색온도) 보정이 필요하다.

5. 플래시의 고급 기능

여러 개의 플래시를 사용하는 카메라는 깊이 가장자리를 찾거나 양식화된 이미지를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미쓰비시 전기 연구소(MERL)의 연구원들이 개발하였다. 전략적으로 배치된 플래시를 연속적으로 점멸시켜 장면의 깊이에 따라 그림자를 생성한다. 이 정보는 세부 사항을 조절하거나 장면의 복잡한 기하학적 특징을 포착하여 비사실적인 이미지를 만드는 데 활용될 수 있으며, 기술 또는 의료 영상에 유용할 수 있다.[17]

포컬 플레인 셔터를 사용하는 경우, 전자 플래시는 셔터 속도에 제한이 있다. 포컬 플레인 셔터는 두 개의 막을 사용하여 센서를 노출시키는데, 첫 번째 막이 열리고 설정된 시간 후 두 번째 막이 닫힌다. 풀 프레임 또는 더 작은 센서 카메라의 최신 포컬 플레인 셔터는 센서를 가로지르는 데 약 1/400초에서 1/300초가 소요되므로, 이보다 짧은 노출 시간에는 센서의 일부만 노출된다.

과거에는 연소가 느린 일회용 플래시 전구를 사용하여 포컬 플레인 셔터를 최대 속도로 사용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 전구들은 현대 카메라에서 사용할 수 없는데, 이는 첫 번째 셔터막이 움직이기 *전에* 발광해야 하기 때문이다(M-싱크). 전자 플래시에 사용되는 X-싱크는 일반적으로 첫 번째 셔터막이 이동을 마칠 때만 발광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급 플래시 장치는 FP 싱크 또는 HSS (고속 싱크) 모드를 제공한다. 이 모드에서는 슬릿이 센서를 가로지르는 동안 플래시 튜브를 여러 번 발광시킨다. 이러한 장치는 카메라와 통신해야 하므로 특정 카메라 브랜드에 전용으로 사용된다. 여러 번의 플래시는 총 플래시 출력의 일부만 사용하므로 가이드 넘버가 감소한다.

소형 플래시, 특히 클립온 타입은 다양한 고급 기능을 제공한다.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 자동 조광 기능 (오토 플래시): 플래시 빛의 반사를 측정하여 광량을 자동으로 조절한다. 초기에는 외광식 오토가 주류였지만, 현재는 카메라 내 센서가 직접 밝기를 측정하는 TTL 오토가 주류이다. 최신형에서는 셔터 직전에 순간 발광(프리 발광)하여 측광 후 본 발광하는 방식[30]이 사용된다.

  • 하이스피드 싱크로 촬영 (FP 발광): 포컬 플레인 셔터[31] 카메라에서 고속 셔터 속도로 촬영할 때, 셔터 슬릿이 화면 전체를 통과하는 동안 플래시를 계속 발광시켜 플래시 동조를 가능하게 한다[32].

  • 슬로우 싱크로: 어두운 배경에서 인물 촬영 시, 주 대상은 플래시 빛으로, 배경은 정착광으로 측광하여 느린 셔터 속도를 설정하고 플래시를 조광한다. 이를 통해 인물은 적정 밝기로, 배경은 자연스러운 분위기를 살려 촬영할 수 있다.[33] 단, 셔터 속도가 느려져 손떨림이나 피사체 흔들림이 발생할 수 있다.

  • 후막 싱크로: 포컬 플레인 셔터의 X 싱크로 시간보다 느린 셔터 속도를 사용할 때, 일반적으로 셔터 선막이 완전히 열린 직후 플래시가 발광하지만, 후막 싱크로는 후막이 주행을 시작하기 직전에 발광한다. 장시간 노출 시 자동차 테일 램프 궤적을 남긴 후 차체가 찍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무선 플래시/다중 플래시: 적외선이나 전파를 이용해 본체와 플래시를 분리하여 촬영하거나, 여러 개의 플래시를 조합하여 촬영할 수 있다. 다른 플래시의 발광을 감지하여 발광하는 '슬레이브 발광 기능'을 갖춘 플래시도 있다. 슬레이브 발광 기능이 없는 플래시라도 슬레이브 유닛을 장착하면 슬레이브 발광이 가능하다.[34]

6. 플래시 사용 기법

추가 조명이 없는 상태(왼쪽)와 보조 플래시가 있는 상태(오른쪽)의 노출 이미지


직접 플래시로 생성된 조명(왼쪽)과 반사 플래시로 생성된 조명(오른쪽)


플래시는 전용 스튜디오뿐만 아니라 주변광이 부족한 경우 주 광원으로, 또는 더 복잡한 조명 상황에서 보조 광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기본 플래시 조명은 어떤 방식으로든 수정하지 않으면 딱딱하고 정면에서 오는 빛을 생성한다.[22] 이를 보정하기 위해 몇 가지 기술이 사용된다.

  • '''소프트박스''': 플래시 램프를 덮는 디퓨저로, 직사광선을 분산시키고 빛의 거칠기를 줄여준다.
  • '''반사판''': 우산, 흰색 배경, 드레이프 및 반사판 등이 사용된다. (소형 휴대용 플래시 장치에도 적용).
  • '''바운스 플래시''': 플래시를 반사면(예: 흰색 천장 또는 플래시 우산)으로 향하게 하여 대상에 빛을 반사시키는 기술이다. 필 플래시나 실내에서 전체 장면에 대한 주변 조명으로 사용될 수 있다. 직사 플래시보다 부드럽고 인공적이지 않은 조명을 생성하며, 일반적으로 전체 대비를 줄이고 그림자와 하이라이트 디테일을 확장한다. 직사 조명보다 더 많은 플래시 전력을 필요로 한다.[22]
  • '''바운스 카드''': 플래시 장치에 부착하여 바운스된 빛의 일부를 대상에 직접 조준할 수 있다. 플래시의 효율성을 높이고 천장에서 오는 빛에 의해 드리워진 그림자를 비춘다. 손바닥을 사용하면 사진에 따뜻한 색조를 더하고 추가 액세서리를 휴대할 필요가 없다.

  • '''필 플래시'''("필인 플래시"): 카메라에 가까이 있는 피사체를 비추기 위해 주변광을 보충하는 데 사용된다. 플래시 장치는 주어진 조리개에서 피사체를 정확하게 노출하도록 설정되고, 셔터 속도는 해당 조리개 설정에서 배경 또는 주변광에 대해 정확하게 노출되도록 계산된다.
  • '''보조 플래시'''(슬레이브 플래시): 마스터 장치에 동기화되어 추가 방향에서 빛을 제공한다. 슬레이브 장치는 마스터 플래시에서 나오는 빛에 의해 전기적으로 트리거된다. 많은 소형 플래시와 스튜디오 모노라이트에는 광학 슬레이브가 내장되어 있다. 포켓위저드와 같은 무선 라디오 송신기를 사용하면 수신기 장치가 구석에 있거나 광학 동기화를 사용하여 트리거하기에는 너무 멀리 떨어져 있을 수 있다.

  • '''스트로브 설정''': 일부 고급 장치는 지정된 빈도로 지정된 횟수만큼 플래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단일 노출에서 여러 번 동작을 고정할 수 있다.[23]

  • '''색상 젤''': 플래시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플래시의 빛이 텅스텐 조명과 같도록(CTO 젤 사용) 또는 형광등과 같도록 보정 젤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 '''오픈 플래시''', '''프리 플래시''', '''수동 트리거 플래시''': 사진 작가가 셔터와 독립적으로 플래시 장치를 수동으로 트리거하는 모드를 의미한다.[24]


플래시(점광원에 가까움)를 피사체를 향해 직접 발광시키면 뚜렷한 그림자가 생긴다. 상황에 따라서는 이 그림자가 부자연스러운 인상을 주는 경우도 있어, 그림자를 흐리게 할 목적으로 발광부 바로 앞에 트레이싱 페이퍼 등을 놓고 빛을 확산(디퓨즈)시키거나, 반사판이나 벽, 천장에 빛을 일단 반사(바운스)시켜 사용한다. 상자 형태의 디퓨저나, 스튜디오 촬영에서는 플래시 광 반사용 우산 등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소형 플래시에 적합한 액세서리도 정품 및 각 회사에서 출시되고 있다.

색깔이 있는 벽이나 천장에 플래시 광을 바운스시키면 반사광의 색온도나 색조가 변화하여, 촬영자가 의도한 상태와 달라지는 경우가 있다. 그러한 현상을 피하고 싶을 경우, 발광부나 카메라 렌즈 앞에 필터를 장착하여 색온도나 색조를 보정하기도 한다.

7. 플래시 사용 시 주의사항

카메라 내장 플래시를 사용하면 빛이 매우 강해 사진에서 그림자가 사라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빛을 내는 플래시가 카메라와 거의 같은 위치에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면 플래시의 세기와 주변 조명의 균형을 맞추거나, 카메라와 분리된 외부 플래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외부 플래시에 우산이나 소프트박스를 사용하면 더 부드러운 그림자를 만들 수 있다.[35]

내장 플래시의 또 다른 문제는 빛의 양이 적다는 것이다. 3m 이상 떨어진 곳에서는 좋은 사진을 찍기에 빛이 충분하지 않아 어둡고, 거칠며, 노이즈가 많은 사진이 나올 수 있다. 따라서 내장 플래시를 사용할 때는 권장 거리를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스튜디오에서 사용하는 대형 플래시는 먼 거리에서도 충분한 빛을 낼 수 있으며, 심지어 햇빛 아래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일부 카메라는 피사체가 멀리 떨어져 있어 플래시의 영향을 받지 않는데도 자동으로 플래시를 터뜨리는 경우가 있다. 스포츠 경기나 콘서트장에서 관중들이 계속해서 플래시를 터뜨리는 것은 선수나 공연자에게 방해가 될 수 있다.[36]

적목 현상


"적목 현상"은 카메라 내장 플래시나 링 플래시에서 자주 발생하는 문제이다. 사람의 망막은 빨간색 빛을 반사하기 때문에, 정면에서 플래시를 터뜨리면 눈이 빨갛게 나오는 현상이다. 이는 카메라의 "적목 현상 감소" 기능(사전 플래시를 터뜨려 홍채를 수축시키는 기능)으로 어느 정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가장 좋은 해결책은 카메라에서 플래시를 분리하여 광축에서 멀리 떨어뜨리거나, 플래시 빛을 벽이나 천장에 반사시키는 바운스 플래시를 사용하는 것이다.[37]

일부 카메라는 실제 사진을 찍기 전에 매우 짧은 사전 플래시를 터뜨려 플래시 노출을 측정한다. 이로 인해 눈을 깜빡이는 반응 시간(약 1/10초)과 겹쳐 사진 속 인물이 눈을 감거나 가늘게 뜨게 될 수 있다. 일부 고급 카메라는 FEL(플래시 노출 고정) 기능을 제공하여 사진작가가 미리 측정 플래시를 터뜨릴 수 있게 하지만, 많은 카메라에서는 TTL 사전 플래시 간격을 조절할 수 없다.[38]

플래시는 주변 사람들을 산만하게 할 수 있으므로, 촬영 횟수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일부 박물관에서는 사진 촬영 허가를 받았더라도 플래시 사용이 금지될 수 있다. 플래시 장비는 설치하는 데 시간이 걸리고,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주의해서 고정해야 한다. 특히, 작은 바람에도 플래시가 조명 스탠드에서 넘어질 수 있으므로 묶거나 모래주머니로 고정해야 한다. 대형 장비는 전원 공급이 필요하다.

플래시 사용을 주의해야 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 피사체, 제3자, 촬영자에게 해가 되는 경우
  • 야간이나 지하에서 철도 차량이나 자동차에 플래시를 사용하면 신호등이나 보안 장치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운전사의 시력이나 주의력을 빼앗아 안전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많은 철도 사업자들은 플래시 사용을 금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문제가 발생한 사례도 있다. (철도 사진#플래시 촬영 참조)
  • 경마장의 파독에서 플래시를 사용하면 경주마가 흥분할 위험이 있다. (1996년 추화상에서 플래시 사용으로 인해 유력마인 에어그루브가 흥분하여 10착으로 대패한 것이 계기가 되었다.)
  • 사용이 금지된 장소
  • 미술관, 박물관 - 플래시 빛으로 인해 전시물이 손상될 위험이 있다.
  • 동물원, 수족관 - 전시 동물이나 다른 관람객에게 영향을 줄 수 있다. 애완동물, 가축, 야생 동물에게 플래시를 사용할 때도 신중해야 한다.
  • 극장 - 연출 효과를 망칠 수 있다. (단, 의도적으로 허가되는 경우도 있다.)
  • 영화, 텔레비전 드라마 등 영상 촬영 현장 - 지식이 없는 취재자나 견학자가 플래시를 터뜨리면 해당 샷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 과학 관측 관련 시설 - 플래시나 방전이 계측 장비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시설 견학 시에는 안내에 따라야 한다.
  • 변전, 송전, 수전 설비와 같은 전기 작업물 근처 - 전기 사고 발생 시 방전을 감지하는 보호 장치를 오작동시킬 수 있다. (고압 개폐기의 섬광 검지기 동작 확인에는 제논 플래시 라이트가 사용된다.)


최근 디지털 카메라는 셔터 속도와 관계없이 어두운 곳에서도 잘 찍히기 때문에 형광등 아래에서도 쉽게 촬영하고 확인할 수 있다. 야간 행사(본오도리, 야간 스포츠, 공연 등)에서는 연기자에게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플래시 사용을 자제하고, 사진 품질을 কিছুটা 희생하더라도 최고 감도를 사용하는 등의 배려가 필요하다.

텔레비전에서는 시청자에게 광과민성 발작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현재 1초에 3회 이상 강한 플래시를 사용하는 것은 가이드라인 위반이다.

8. 주요 플래시 제조사

다음은 주요 플래시 제조사 목록이다.

'''대형 플래시'''


  • 코멧
  • 프로펫
  • 선스타 스트로보
  • 미니테크노 (미니컴의 사업을 계승)
  • 프로포토
  • 브론컬러
  • 와이드 트레이드 (TOKISTAR 브랜드명으로 판매)
  • 오로라 라이트뱅크 재팬
  • godox


'''소형 플래시'''

각 카메라 제조사가 정품 옵션으로 출시하는 외에, 플래시를 주력으로 취급하는 제조사가 몇 군데 있다.

  • 시그마 - 자사 카메라용뿐만 아니라, 타사 카메라용 제품도 취급하고 있다.
  • 선팩
  • 메츠 - 일본에서는 켄코가 대리점이다.
  • godox - 일본에서는 켄코가 대리점이다.
  • 닛신 재팬
  • 파나소닉 라이팅 디바이스 - 이전에는 대형 플래시나 스트로보스코프도 제조했다.
  • yongnuo
  • Neewer


'''이미 존재하지 않는 제조사'''

  • 발커
  • 카코 스트로보 - 소형에서 대형까지, 또한 노출계 등도 제조했다.


'''스트로보스코프'''

  • 스가와라 연구소

참조

[1] 서적 Speedlights & Speedlites: Creative Flash Photography at the Speed of Light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3-06-19
[2] 서적 An Encyclopaedia of the History of Technolog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2
[3] 서적 Manchester and Photography Palatine Press 1934
[4] 웹사이트 History of Flash and Ilford Flashguns http://www.photomemo[...]
[5] 웹사이트 Dangers in the Dark http://www.billjayon[...] 2014-07-25
[6] 간행물 Taking instantaneous photographs by electric light https://books.google[...] Hearst Magazines 1905-02
[7] 간행물 The First Flash Bulb http://image.eastman[...] 1953-11
[8] 간행물 Photoflash 62 Years Ago http://image.eastman[...]
[9] 웹사이트 Flash Bulbs - the Lowdown! https://filmphotogra[...] 2018-07-23
[10] 웹사이트 Photoflash bulbs http://www.darklight[...] Darklight Imagery 2014-10-23
[11] 웹사이트 flashbulbs.com - philips - page 6 http://www.flashbulb[...] 2018-05-02
[12] 뉴스 Kodak Unveils 8 'Flashcube' Camera Types Democrat and Chronicle 1965-07-09
[13] 뉴스 Flashcube, Cameras Introduced Chicago Tribune 1965-07-10
[14]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Photographic Flash https://photography.[...] 2011-01-19
[15] 웹사이트 Harold Edgerton: The man who froze time http://www.bbc.com/f[...] 2014-07-23
[16] 웹사이트 For example, the Nikon Medical Nikkor Lens http://www.mir.com.m[...]
[17] 웹사이트 Non-photorealistic Camera http://www.photo.net[...] Photo.net 2011-12-28
[18] 웹사이트 Studio Flash Explained: Flash Duration http://s196259524.on[...] Paul C. Buff, Inc. 2022-11-19
[19] 웹사이트 Einstein – User Manual/Operation Instructions http://www.paulcbuff[...] Paul C. Buff, Inc 2013-07-05
[20] 웹사이트 How fast is the Nikon 850 electronic shutter? https://blog.kasson.[...] Jim Kasson 2018-12-04
[21] 웹사이트 Fujifilm GFX 50R Specifications http://www.fujifilm.[...] Fujifilm 2018-12-04
[22] 서적 Basic Photography https://archive.org/[...] Focal Press/Butterworth Heinemann 2000
[23] 웹사이트 Stobe Tips http://qswags.blogsp[...] Addendum 2010-06-12
[24] 서적 Mastering Digital Flash Photography: The Complete Reference Guide https://books.google[...] Lark Books
[25] 문서 Strobe http://dictionary.re[...] Dictionary.com
[26] 문서 STROB - Reviews & Brand Information - STROBO RESEARCH MILWAUKEE , - Serial Number: 71508320 http://www.trademark[...]
[27] 문서 独立行政法人[[工業所有権情報・研修館]]の[[特許電子図書館]](IPDL)での調査による。
[28] 문서 ニコン、キヤノンがこれに当たる。ただし、ニコンではカメラに内蔵しているものを「フラッシュ」、外付けのものを「スピードライト」と呼び分けている。
[29] 문서 暖かい料理から立ち上る湯気の雰囲気を撮影する場合には長い発光時間が要求され、このような用途に小型フラッシュは役に立たない。
[30] 문서 [[キヤノン]]のE-TTLモード、[[ニコン]]の3DマルチBL調光やi-TTL調光などがこの方式に当たる。
[31] 문서 FPはFocal-Plainの頭文字である。
[32] 문서 かつての[[閃光電球]]でもFP級バルブと呼ばれる発光時間の長いものがあった。
[33] 문서 手前の人物などはフラッシュ光が届くので明るく撮影され、背景はシャッター速度が遅いので見た目に近い明るさで撮影される。
[34] 문서 ただし、プリ発光・赤目軽減機能・FP発光などと併用すると、正しく同調できない。
[35] 서적 鉄道写真の撮り方手帖 マイナビ 2013年11月
[36] 뉴스 フラッシュ撮影した客にメトロ運転士ブチ切れ 「すいませんじゃねーよ!」は暴言なのか https://www.j-cast.c[...] J-CAST 2015-02-25
[37] 간행물 優駿 2013-06
[38] 간행물 STRATEGIES FOR RELIABLE ARC FLASH DETECTION IN LOW-VOLTAGE SWITCHGEAR https://www.eaton.co[...] アメリカ電気電子学会(IEEE) 2018
[39] 웹인용 섬광등 http://preview.brit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